-
[맥락영문법] 문장의 두번째 구성요소 -동사맥락영어/맥락[영문법] 2020. 1. 8. 19:38
먼저 영어구조의 기본원리를 보자.
영어는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주어 → 먼곳으로 흘러가는 성질이 있다.
Tom hit) → John) → in the classroom) → yesterday).
그래서 일반적으로 행위의 주체인 주어가 문장의 가장 앞에 온다.
그리고 그 다음에 행위인 동사가 온다.
'주인공이 ~했다.'
이것이 영어 문장의 시작이다.
이번에는 '~했다.' 부분인 동사에 대해서 이야기하려 한다.
동사는
주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자동사'(Vi, intransitive Verb), '타동사'(Vt, transitive Verb)와
움직임 없이 상태를 표현할 때 쓰는
'Be동사'가 있다.
Subject [Verb] ~~
주어 동사
I [grow] 나는 [자란다].
I [grow] it 나는 [자라게 한다] 그것을.
I [grow] happy 나는 [된다] 행복하게
그런데 3문장의 동사가 다른 타입이다.
I grow '자동사(vi)'
I grow it '타동사(vt)'
I grow happy '상태동사(be)'
※'trans'이동,변형의 뜻을 가지고 있다.
자동사 (Vi, intransitive Verb)는 동작의 이동이 없다.
주어에 동작이 머무른다.
주어와 동사로만 문장이 완성된다.
[ I ] grow.
내가 자란다.(주어에 움직임이 있다.)
타동사 (Vt, transitive Verb)는 목적어로 동작의 이동이 있다.
동작의 대상인 목적어가 있어야 한다.
I grow [it].
나는 자라게 한다 그것을(목적어에 움직임이 있다.)
Be동사는 주어의 상태를 표현한다.
주어의 상태를 표현하는 보어가 따라온다.
[ I ] grow happy.
내가 행복하다.
grow가 be동사라니 이상한가?
be동사 부분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 하겠다.
<Type Vi>
자동사는 intransitive Verb
동작의 이동이 없이 주어에 머물러 있다.
[S] vi
[ I ] go. 내가 간다.
[ I ] sleep. 내가 잔다.
[ I ] walk. 내가 걷는다.
[ I ] go +to school.
뒤에 추가적인 정보가 올 수 있지만
목적어나 보어같은 핵심요소가 오지 않아도 된다.
주어+자동사로만 된 구조를 1형식으로 부르기도 한다.
[S] vi <1형식>
※자동사만 가능한 동사들
arrive, die, fall, go, laugh, sleep, smile, stay
<Type Vt>
타동사는 transitive Verb
동작이 목적어로 이동한다.
[S] vt [Object]
[ I ] eat [a sandwich]. 샌드위치가 먹어 없어진다.
[ I ] open [the door]. 문이 열린다.
[ I ] fix [my computer]. 컴퓨터가 고쳐진다.
주어+타동사+목적어로 된 구조를 3형식으로 부르기도 한다.
[S] vt [O] <3형식>
목적어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여
1형식인지 3형식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문장구조나 형식은 해석을 위한 도구일 뿐이다.
올바른 해석을 위해서는 자동사/타동사의 메커니즘을 익혀야 한다.
동작이 주어에 머물러 있는지... vi
동작이 목적어로 이동하였는지... vt
She changed into a cat.
She changed me into a cat.
두 문장을 위에 설명한 것을 바탕으로 한번 해석해 보자.
[She] changed +into a cat.
[S] vi
'주어-자동사'로 된 구조로
동작이 주어에 머물러 있다.
그녀가 변했다 +고양이로
[She] changed [me] +into a cat.
[S] vt [O]
'주어-타동사-목적어'로 된 구조로
동작이 목적어로 넘어간다.
그녀는 변화시켰다→나를 +고양이로
몇 가지 더 연습해보자.
I run to the store.
I run the store.
I walk with my dog.
I walk my dog.
I surprised her.
[ I ] run +to the store.
[S] vi
'주어-자동사'로 된 구조로
동작이 주어에 머물러 있다.
나는 뛴다 +가게로
I run [the store].
[S] vt [O]
'주어-타동사-목적어'로 된 구조로
동작이 목적어로 넘어간다.
나는 뛰게했다→가게를
'나는 가게를 운영한다' 뜻이 된다.
[ I ] walk +with my dog.
[S] vi
'주어-자동사'로 된 구조로
동작이 주어에 머물러 있다.
나는 걷지만 개는 안고 갈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내가 걷는다는 것이다.
나는 걷는다 +개와함께
I walk [my dog].
[S] vt [O]
'주어-타동사-목적어'로 된 구조로
동작이 목적어로 넘어간다.
나는 걷게 했다→나의 개를
'나는 개를 산책시킨다' 뜻이 된다.
I surprised [her].
[S] vt [O]
'주어-타동사-목적어'로 된 구조로
동작이 목적어로 넘어간다.
나는 놀라게 했다→그녀를
이 문장은 간단하지만
'나는 놀랐다' 이렇게 해석을 시작하면서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멈칫한다.
자동사와 타동사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그렇게 어렵지 않다.
동작이 목적어로 이동하였으므로 그녀가 놀라야 한다.
<Type Be>
'Be동사'는 움직임이 없고 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동사이다.
그래서 영미권에서는 Auxiliary Verb(보조동사)로 설명을 한다.
기능적으로는 도와주는 보조동사지만
구조적으로 동사의 위치에 있고 문법적으로도 동사의 역할을 하므로
다른 타입의 동사로 보도록 하겠다.
'Be동사'는 동작이 없다.
[ I ] am [나는] 이다.
어떤가? 정보전달이 다 되는 것 같은가?
'Be동사' 뒤에는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보어'가 와야한다.
보어는 주로 형용사/명사가 온다.
Be동사 뒤에는 주어를 설명하는 내용이 온다.
[S] Be (Complement) <2형식>
[He] is (kind).
[He] is (a kind man).
be동사는 이미지적으로 "="을 나타낸다.
He = kind.
He = a kind man.
The dog = mine.
형식으로 보면 2형식으로 보면 된다.
※불완전자동사 ≒ be동사
be동사 am/are/is는 뜻이 거의 없기 때문에
주어의 상태를 묘사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래서 do동사를 가져다가 be동사처럼 쓰는 경우가 있다.
I was angry.
내가 화가 나있는 상태.
I got angry.
화가난 상태로 변화한 상황
The milk was bad.
우유가 상한 상태
The milk went bad.
우유가 맛이 간 상황.
I was happy.
행복한 상태.
I grew happy.
행복하게 변한 상태
He is sad.
슬픈 상태
He looks sad.
슬퍼 보이는 상태
위 동사들은 실제로 동작을 표현하지는 않는다.
동작의 뜻은 버리고
상태의 변화를 표시하거나
상태를 조금 더 풍부하게 표현하는 것을 돕는다.
-세 가지 타입의 동사 정리
<Type Be> 2형식
Be동사는 주어의 상태를 표현할 때 쓰는 뜻이 거의 없는 기능어다.
뒤쪽에 보충해주는 보어가 온다.
[S] Be C 주어-동사-보어
[He] is (kind/a kind man.) 그가 친절하다./친절한 남자다.
[He] grows (kind/a kind man.) 그가 친절하게 된다./친절한 남자가 된다.
<Type Vi> 1형식
자동사는 intransitive Verb
동작의 이동이 없이 주어에 머물러 있다.
[S] vi 주어-동사
[ I ] grow. 내가 성장한다.
<Type Vt> 3형식
타동사는 transitive Verb
동작이 목적어로 이동한다.
[S] vt [O] 주어-동사-목적어
[ I ] grow [the plant]. 식물이 성장하도록 키운다.
위에서 설명한 1,2,3형식 외에도
4형식과 5형식이 있다.
4형식은 3형식의 변형이고
5형식은 3형식의 확장이다.
타동사를 반드시 이해하고 보는 것이 좋다.
<Type Vt5>
5형식은 3형식의 확장이다.
타동사는 transitive Verb
동작이 목적어로 이동한다.
[S] vt [O]
[ I ] saw [the man]. 보는 행위가 남자에 머무른다.
그리고 목적어에 대한 내용을 추가할 수도 있는데
추가된 내용을 목적보어라고 하고 문장은 5형식이 된다.
[S] vt [O] (C)
[ I ] saw [the man] (standing).
s c
나는 그 남자를 보고 그 남자는 서있다.
the man은 saw의 목적어이자
standing의 주어이기도 하다.
I made Tom 3형식
s vt o
+
Tomishappy 2형식
s c
II
I made Tom happy 5형식
s vt o oc
목적어를 보충해주는 목적보어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He made [Tom] (happy).
형용사
She made [Tom] (a hero).
명사
He wants [Tom] (to go).
to부정사
He made [Tom] (go).
원형부정사
She kept [Tom] (going).
~ing
I had [my hair] (cut).
p.p.
<Type Vt4> 4형식
4형식은 3형식의 변형이다.
동사 중에 주다라는 의미를 가진 동사들이 있다.
[S] vt [O]
[ I ] gave [a pen]. → ??
나는 펜을 줬다.
'주다'라는 동작을 목적어에 전달했지만 누구에게 줬는지에 대한 정보가 더 필요한 것 같다.
<영어어순원칙1: 주어 → 먼쪽>에 맞게 물건이 건너가는 대상을 써보면
[ I ] gave [a pen] to her.
이 된다.
하지만 위 문장은
<영어어순원칙2: 뒤로 가면서 자세하고 새로운 내용>에는 맞지 않다.
그녀에게 보다는 무엇을 주는지(위 경우 a pen)가 더 궁금하고 새로운 내용이다.
그래서 뒤 쪽 정보들의 순서가 바뀌게 된다.
그리고 전치사도 빠지게 되면서 마치 목적어가 2개 처럼 보이는 모양이 된다.
그것이 4형식이다.
[S] vt [io] [dO]
[ I ] gavetoher [a pen].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로
부르기도 한다.
※주다 뜻을 가진 수여동사들
give, hand, pass, lend, pay, bring, send, offer, tell, teach, write, show
make, buy, get, order, find, cook
ask, beg, demand, require
-정리-
동사 타입에 따른 5형식
2형식: [S] Be (C)
1형식: [S] vi
3형식: [S] vt [O]
5형식: [S] vt5 [O](C)
4형식: [S] vt4 [io][dO]
<Type Be> 2형식
Be동사는 주어의 상태를 표현할 때 쓰는 뜻이 거의 없는 기능어다.
뒤쪽에 보충해주는 보어가 온다.
[S] Be (C) 주어-동사-보어
[He] is (kind/a kind man). 그가 친철하다.
<Type Vi> 1형식
자동사는 intransitive Verb
동작의 이동이 없이 주어에 머물러 있다.
[S] vi 주어-동사
[ I ] go. 내가 움직인다.
<Type Vt> 3형식
타동사는 transitive Verb
동작이 목적어로 이동한다.
[S] vt [O] 주어-동사-목적어
[ I ] eat [a sandwich]. 샌드위치가 먹어 없어진다.
<Type Vt5>
5형식은 3형식의 확장이다.
목적어에 대한 내용을 추가할 수도 있는데
추가된 내용을 목적보어라고 하고 문장은 5형식이 된다.
[S] vt [O](C) 주어-동사-목적어-목적보어
[ I ] saw [the man] (standing).
<Type Vt4> 4형식
4형식은 3형식의 변형이다.
'주다'의미를 가진 동사의 경우 목적어 앞에 받는 대상을 쓴다.
[S] vt [io][dO] 주어-동사-간접목적어-직접목적어
[ I ] gaveto|her| [a pen].
<연습하기>
다음 문장들의 동작이 주어에 머물러 있는지 목적어로 옮겼는지 생각해보고
몇 형식인지도 생각해보자.
He likes pizza.
The baby sleeps.
My father makes me a teacher.
He made a cake.
He made me a cake.
He made a good CEO.
He made me a hero.
He swims well.
He is a student.
He wants to eat a burger.
He wants me to eat a burger.
I heard her singing in the room.
I have no time to study English.
She is pretty.
She is a beautiful girl.
He loves his girlfriend.
He gives me a gift.
She finds him a watch.
He looks happy.
To study English, I go to school.
I like to swim.
To walk is good exercise.
I have friends to help me.
I have something to tell you.
To pass the exam, you should study hard.
He came here to study English.
It is very cold today.
My hobby is making some cookies.
You look beautiful.
I'm sending an e-mail to my friend.
She makes me angry.
My father let me clean my room.
Mother can cook spaghetti very well.
He taught her English yesterday.
They asked me some questions.
I lived across the street.
I found the wallet empty.728x90'맥락영어 > 맥락[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락영문법] 영어는 후치수식, 뒤에서 꾸민다. (0) 2020.01.23 [맥락따라] 'try to...' or 'try ...ing' (0) 2020.01.14 [맥락따라] 'can' or 'be able to' (0) 2020.01.05 [맥락영문법] 문장의 시작 -주어 (0) 2020.01.03 [맥락영문법] 준동사: pp, ~ing, to부정사 (0) 2019.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