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맥락영어/지문요약] 고1 2018년 11월 모의고사 23번
    맥락영어/지문요약쓰기 [맥락파악] 2019. 11. 19. 20:56





    다른 사람이 쓴 글을 읽고 정리하면 
    그 글의 내용을 더 잘 기억하고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차후에 자신의 글을 쓸 때도 큰 도움이 된다.


    다음 글을 읽고 정리해 보자.

    In a competitive environment, such as a college admissions process or a job application situation, almost everyone has strong qualifications. Almost everyone has facts in their favor. But how valuable are facts alone? Think back to the most recent lecture or presentation you attended. How many facts do you remember from it? If you’re like most people, you can’t recall many, if any. Chances are good, however, that you remember stories, anecdotes, and examples from the event, even if you can’t think of their exact context. The average person today is flooded with facts and data, and we let most of this pass through our brains with minimal retention or reactionunless something makes the information stand out in a meaningful way. That’s where story comes in.   *retention: 기억

     

    바로가기끊어읽는 흐름독해

     

     

    대학 입학 과정이나 구직 상황과 같은 경쟁적 환경에서 거의 모든 사람들은 상당한 자격 조건을 갖추고 있다. 거의 모든 사람들은 자신들에게 유리한 사실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사실들만으로 얼마나 가치가 있겠는가? 여러분이 참석했던 가장 최근의 강의나 발표를 회상해 보라. 여러분은 그것으로부터 얼마나 많은 사실들을 기억하는가? 만약 여러분이 대부분의 사람과 같다면, 여러분은 기억한다 하더라도 많은 것을 기억해 내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비록 여러분이 정확한 맥락을 기억하지는 못하더라도, 여러분은 그 행사로부터의 이야기들, 일화들, 그리고 예시들을 기억할 가능성이 높다. 오늘날 보통 사람에게는 사실들과 데이터가 넘쳐나고, 어떤 것이 유의미한 방식으로 그 정보를 두드러지게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이것의 대부분이 최소한의 기억이나 반응만을 남긴 채 우리의 뇌를 빠져나가게 둔다. 그것이 이야기가 들어서는 지점이다.

     


     

     

    정보가 넘쳐나고 바쁜 세상에서 첫 문장은 그 다음 문장을 읽을 지를 결정한다.
    두괄식으로 이목을 끌 수 있는 글을 쓰는 훈련을 하자.

    의견 or 주제
    이유와 예들로 보충
    의견 or 주제


    이렇게 3단으로 간단히 적어보자.

     

     

    그리고 다시 한 문장으로 요약해보자.

     

     

     

     

     

     

     




     


    <3단 요약>
    이야기는 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  -의견
    지난 강의들을 기억해보자. 아마 정보적인 부분들은 잘 기억에 나지 않지만 예를 들거나 이야기로 풀어낸 부분은 기억이 날 것이다.  -보충
    이야기와 예시는 기억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의견

     



    <한 문장 요약>
    뇌에 정보를 잡아둘 방법: 이야기와 예시







    -추가적인 메모-
    정보를 전달할 때 간단하고 짧게 정리해서 이야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대방이 잘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이야기와 예를 충분히 사용하도록 해야겠다.
    책을 더 많이 읽어야겠군...

     

     

     

     

     

     


    맥락 파악시 도움이 되는 힌트들을 알아보자.
    적절한 팁들을 사용해서 문제를 효율적으로 풀 수 있다.

    In a competitive environment, such as a college admissions process or a job application situation, almost everyone has strong qualifications. Almost everyone has facts in their favor. But how valuable are facts alone? Think back to the most recent lecture or presentation you attended. How many facts do you remember from it? If you’re like most people, you can’t recall many, if any. Chances are good, however, that you remember stories, anecdotes, and examples from the event, even if you can’t think of their exact context. The average person today is flooded with facts and data, and we let most of this pass through our brains with minimal retention or reactionunless something makes the information stand out in a meaningful way. That’s where story comes in.   *retention: 기억

     


    지문에 'But' 이나 'However' 처럼 역접이 나오면 중요한 힌트가 되는 내용이 나온다.

    Almost everyone has facts in their favor. But how valuable are facts alone?
    거의 모든 사람들은 자신들에게 유리한 사실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사실들만으로 얼마나 가치가 있겠는가? 

    사실만으로는 가치가 없다고 하니 다른 더 중요한 이야기가 나올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앞에서 읽은 이야기는 잠시 덮어두고 다음에 나올 중요한 이야기에 집중해서 읽어야 한다.



    Chances are good, 
    however, that you remember stories, anecdotes, and examples from the event, even if you can’t think of their exact context.
    그러나 비록 여러분이 정확한 맥락을 기억하지는 못하더라도, 여러분은 그 행사로부터의 이야기들, 일화들, 그리고 예시들을 기억할 가능성이 높다.


    'even if, though, although' 처럼 비록~ 일지라도(양보)의 뜻은 중요도를 뒤쪽으로 양보한다는 뜻으로 뒤에 따라오는 문장을 강조할 때 쓰인다.

    비록 내용은 기억 못하지만, "이야기나 예시"들은 기억한다.



    even if 를 사용해서 "이야기나 예시"를 강조하였다.
    극단적으로 even if 절을 해석하지 않고 뒤에 강조된 부분만 해석해도 전체 맥락을 파악하는데 문제없다.
    시간이 중요한 시험을 치는 상황이라면 강조된 부분만 해석하는 것도 문제를 잘 풀기위한 한 방법이다.






    이 지문의 실제 문제는 다음 5개의 보기중 주제를 찾는 것이다.
    Make Yourself Outstanding by Using Accurate Terms
    The Power of Story: Why We Need More Than Facts
    What Is the Key Qualification of a Storyteller?
    How Big Is Our Average Memory Capacity?
    A Single Fact Is Worth a Whole Story



    위에서 정리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풀어보면 그리 어렵지 않게 답을 찾을 수 있다.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